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경유차 연료필터 교환주기

by coolman8 2021. 11. 11.

겨울철 경유자동차 내연 자동차 연료필터 교환주기

 

연료필터
연료필터

 

연료필터는 엔진 내부에서 1 행정 사이클을 돌기 위해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순서에 거쳐야 하는데 연료와 공기의 혼합체가 잘 폭발하기 위해서는 연료에 불순물이 섞이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연료에 들어있는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해야 하는 역할이 연료필터입니다. 

디젤 자동차의 경우 연료필터가 대부분 엔진룸에 장착돼 있으며 초고압 분사 방식으로 인하여 교체주기가 가솔린보다 짧습니다.

내연기관차의 연료필터 교환주기

● 가솔린 자동차 40000km~60000km

● 경유 자동차 30000km~40000km

● lpg 자동차 50000km

위에 내연기관차의 연료필터 교환 주기를 보시면 경유 자동차가 교환주기가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짧은 이유는 경유의 특성상 수분은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순수 불순물 정화 기능 외에 수분도 걸러서 모아 주어야 하는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내연기관 자동차들은 기름탱크 안으로 연료필터가 달려 있지만 경유 자동차는 기름탱크 안이 아닌 엔진룸 쪽에 연료필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경유라는 연료 특성상 파라핀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파라핀이라는 이 성분은 경유 원유 정제 과정에서 파라핀이라는 성분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한 겨울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특히 경유차들이 시동지연과 아니면 시동이 되지 않아서 보험서비스나 정비소에 들어오는 경유 자동차들을 있습니다. 

물 도 0 º 이하로 내려가면 어는 것처럼 내연기관 자동차 연료들도 어는점이 있습니다

→ 휘발유  영하 38 º

→ 경유 영하 10 º

위에 보시면 경유 어는점이 현저하게 빠릅니다. 어는점이 낮다 보니 파라핀 성분 특성상 돼지기름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돼지기름과 비슷하다는 표현의 뜻은 삼겹살을 다 구워드시고 남은 기름을 방치하고 나중에 보시면 고체화돼서 기름 덩어리 모여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거와 비슷한 예로 돼지기름이 고체화된 덩어리가 경유 자동차 기름탱크. 연료라인에 덩어리들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와중에 파라핀 성분이 고체화돼있는 상태에서 기름 탱크의 수분과 연료라인 수분 그리고 연료필터의 수분이 쌓이게 되면 여러 가지 고장 발생 코드가 발생합니다

 

경유자동차 연료필터 교체 안 하면 고장 증상. 예방정비 관리

 

아침에 뉴스를 보니까 오늘 첫눈이 내린 지역이 있더라고요.. 눈이 내렸다는 소식을 들으니 이제 겨울이 왔구나 생각이 드 네요. 그럼 이제 곧 겨울이 성큼 다가왔으니 경유 자동차의 예방정비와 관리 또는 연료필터의 교체주기가 잘 지켜지지 않으면 어떤 고장코드가 발생하는지 알아볼게요

● 연료필터 교체의 중요성

→ 연료필터에 파라핀 성분과 수분이 섞이면서 시동지연

→ 연비 저하

→ 출력 저하

→ 엔진 소음 증가

→ 수분으로 인한 고압펌프 내에 녹이 발생할 수 있음

→ 고압으로 연료 직분사 해주는 인젝터 불순물로 인한 막힘. 손상

→ RPM 올라가지만 출력이 안 나옴

● 예방정비와 관리

겨울철에 들어가기 전에 수분 필터 교환주기 확인해야 합니다
30000km~40000km 키로수 되었는지 아니면 2년 이상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연료필터는 어셈블리와 교체할 것인지 카트리지만 교체할 것인지 알고 계셔야 합니다. 합리적인 소비를 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오너 분들도 일반적인 소모품 교체 내역은... 알고 있지 않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셈블리 교체는 저 위에 사진에 보시는 것처럼 저 부속만 교환하는 겁니다.
카트리지 교체는 저 위에 사진 어셈블리 안에 카트리지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보통 카트리지 2번 교환에 어셈블리 1번 교환하시면 주기가 합리적인 소비가 될 것이며 겨울철 예방정비에도 이상이 없습니다. 금액은 어셈블리가 7만 원 정도 하며 카트리지는 2만 원 정도 합니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분 제거제. 동결 방지제. 같이 써주는 게 효과가 더 있습니다
속된 말로 기름탱크에 가득 채워서 다녀라 라는 말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한 겨울에는 조건이 충분하다면 지하 주차창이나 실내 주차창에 자동차 주차를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