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긁을 때 세균성 곰팡이 감염( 진균)
안녕하세요 저의 반려견 망고가 동물병원을 다녀왔습니다... 등 쪽이나 꼬리 쪽을 이빨로 긁더라고요 별거 아니겠구나 생각을 했는데 샤워를 시키려고 하니까 털들이 듬성듬성 빠져있고 피부에는 상처까지 보이더라고요
연고를 바르면 괜찮아지겠지 생각을 했지만 털을 잡아당기는 순간 깜짝 놀랐어요. 잡아당기면 털들이 힘없이 빠지더라고요. 동물병원 가서 진찰을 받아보고 털들을 뽑아가서 배양검사 이후에 결과를 알려준다고 합니다.
2주 이후에 검가 결과가 나오니 기다리라고 해서 기다렸다가 오늘 진단명을 듣고 왔는데 세균 곰팡이성 피부염이라고 합니다..
● 세균 곰팡이성 피부염 (진균)
강아지 곰팡이성 피부염(진균) 강아지 진균 이라고도 합니다
곰팡이성 피부염(진균)은 다른 강아지나 사람에게 옮길 수 있으며 일반 세균 피부염도 보다 치료 기간이 길며 재발률도 높은 편입니다. 곰팡이성 피부염(진균)은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 옮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곰팡이성 피부염의(진균) 특징은 강아지 등이나 복부 외에도 국소부위에 여름과 비슷한 염증이 나타나거나 탈모 각질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는 여름철에 습한 환경에서 지내면 습기로 인하여 세균 증식으로 피부병이 나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스트레스성이나 식습관에 의해서 피부병이 걸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 치료 방법과 집에서 케어하는 방법
동물병원에서 진단해준 치료 예상 기간은 3개월~6개월 정도 예상하라고 합니다
이렇게 오래 걸리는 피부병인가 생각이 들었지만 저의 반려견(망고)을 잘 보살피지 못한 저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책임지고 치료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진찰비는 5만 원 나오고 약욕 샴푸 비용 2만 원 비용을 지출했습니다. 아무래도 치료 목적인 샴푸인지 가격이 꽤 나갑니다
일단 집에 와서 저의 반려견(망고)의 생활공간 방역을 했습니다. 방역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곰팡이 제거 약품이 있으며 아니면 락스를 1대 10 비율로 물과 희석하여 오염된 공간에 뿌림으로써 망고(반려견)의 생활공간을 방역했어요
특히나 잠자는 곳은 수시로 방역을 해줘야 하며 반려견(망고) 옷하고 깔때기를 준비했습니다
피부염으로 몸이 간지럽기 때문에 이빨로 긁거나 아니면 뒷발로 몸을 긁습니다. 이 부분을 방치하게 되면 치료 기간이 더 길어지고 2차 감염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옷을 입혀놨어요 그리고 얼굴 쪽에 깔때기를 목에 걸어 나서 몸 쪽으로 얼굴이 가지 않게 했습니다. 약욕 샴푸는 3일~4일 한 번씩 욕조에 물 받아서 마사지해주면서 해주고 있어요
내부 외부 기생충 구제
우리의 반려견은 외부적인 환경에 노출이 되어 있기에 기생충에 취약합니다. 한 달에 한 번씩 구제를 해야 해야 하는 돼요. 왜 구제를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내부기생충
- 전파 : 어미의 제대 감염. 감염된 동물과 접촉. 오염된 물건. 음식을 통한 전파
※ 임신한 어미에게 내부 기생충이 있을 경우 탯줄을 통해 감염이 되기도 하나 대개 외부에서 전염되어 질병을 일으킴
- 증상 : 빈혈. 설사. 구토. 식욕부진. 체중감소. 기침 등등..
※ 초기에는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진단 :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촌충 등등..
※ 종류가 많으므로 분변을 채취하여 진단해야 합니다
- 치료 :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성충과 충란을 완전히 박멸할 때까지 치료약을 투여해야 합니다
- 예방 : 2개월~3개월마다 구충제를 정기적으로 투여합니다
● 외부 기생충
- 개선충(옴) : 피부 밑에 알을 낳고 번식하는 진드기로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사람에게 전염되기도 합니다
반려견의 귀 끝. 팔꿈치. 꼬리 부분에 주로 발견되며 심한 경우에는 전신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 모낭충 : 털의 모낭에서 기생하여 탈모를 일으키며 2차 감염이 일으킬 경우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피부에 상재하는 벌레로 면역기능이 떨어질 경우 전신으로 번집니다
- 귀 진드기 : 귀의 외이도에 기생하는 진드기로서 초콜릿 색 귀지가 특징입니다
감염된 반려견은 가려운 증을 호소하며 귀를 자주 털거나 긁습니다
- 벼룩 진드기 : 풀밭에 많으며 가려움증. 전신마비를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촌충. 바베시아 등을 옮깁니다
※ 증상 : 대체적으로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탈모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모낭충증은 초기에는 가려움증이 적으나 2차 감염 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드기의 감염은 바베시아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빈혈. 황달. 혈색 소뇨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 진단 : 피부를 긁거나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피부 소파 검사를 통해 어떤 기생충에 감염이 되었는지 면밀히 관찰 후 진단을 합니다
※ 치료 : 주사제. 약욕. 연고 등으로 원인에 따라 적절히 치료하며 기간은 약 3주 이상으로 소요됩니다
● 구제
→ 기생충 구제의 필요성
기생충 감염 시 영양 손실과 빈혈. 피부병. 귓병.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또한 간장. 심장. 폐 내부 장기가 손상되므로 발육이 저하되고 2차 세균 감염도 쉽게 일어납니다
심한 경우 회충에 의해 장폐색으로 죽을 수도 있으며 일정기간마다 기생충 검사를 받고 필요시 수의사를 진단에 따라 기생충 구제약을 투여받아야 합니다
→ 기생충 구제시의 주의사항
- 반려동물 전용 구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 반려견의 연령과 체중에 따라서 투약시기와 방법이 다르므로 수의사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 2개월~3개월 간격으로 구충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구강을 통하여 충란에 감염된 경우 장에서 유충으로 부화하여 감염되는 소요 시간이 대략 2~3개월 이기 때문입니다
→ 기생충 예방
동물병원에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감염 원인의 경로를 파악하여 사전에 철저히 차단해야 합니다
댓글